TSM구성의 개선제안...
페이지 정보
본문
** 끝으로 많이 사용하시는 TSM 회로에 대하여 개선점을 말씀드리고 이만 물러날까
합니다 **
TSM의 기능은 잘 아시겠지만 2가지의 서로다른 시그널 전압을 충돌없이 한개의 램프
모듈로 출력하며, 일정시간의 지연기능 역할을 하는 회로입니다.
시판되는 기성품이건 자작해서 사용하시는 것이든 회로구성은 같아 보입니다.
[ TSM의 기존 회로구성도 ]
[ TSM의 개선 제안도 ]
개선 제안도에 보시면 콘덴서(캐패시터)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와 직렬로
NTC10D-7 라는 써어미스터를 추가 하였습니다.
콘덴서의 용량이 2200uF이면 적지않은 용량이고 콘덴서라는 것이 순간(수us)적으로
많은 전류량이 흐르는 특성이 있어서 충/방전의 반복 작동시 자동차의 전기회로에 무
리가 갈(여러개의 사용시 더욱) 가능성이 있습니다.
써어미스터를 추가하면 충전시 과도하게 흐르는 전류를 내부저항의 증가로서 완화시
켜 줌으로서 차량의 전기회로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됩니다.
[ 자작해서 사용한 TSM모듈 외관 ]
[ 수축튜브 제거후 모습 ]
*참고로 제가 사용한 계전기(RELAY)는 접점용량이 작은 1A_2극 짜리이고 콘덴서
는 1,000uF_25V(릴레이의 접점용량이 적은 것일수록 크기가 작고 감도가 좋아 콘덴
서의 적용 용량은 줄어들게 됩니다.콘덴서의 내압은 차량의 전압이 15V까지도 상승
하므로 16V의 콘덴서가 다소 불안해보여 25V로 선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진에 사용
한 써어미스터는 있는 부품을 사용하다보니 NTC10D-15(*직경15mm짜리)를 사용하
였습니다.
*참고적으로 한말씀 덧붙이면요, 기존 필라멘트식 전구를 LED전구로 바꾸면, 반응속
도가 월등히 빨라집니다. 기존 전구를 자세히 관찰해보시면 ON시 필라멘트가 가열되
빛이 발생되기까지의 지연시간이 있고 또한 반대로 꺼졌을 때에도 달구어진 필라멘트
가 식는동안 발생하는 잔여 빛의 지연이 있는데 비해 LED는 그러한 것이 없습니다.
필라멘트식 전구와 LED모듈을 동시에 작동해 보시면 ON/OFF시의 차이를 확연하게
느끼실수 있으실 겁니다.
그리고 LED의 수명이 있는데요. 30,000시간~50,000 시간인데 이는 각기 LED의 사양
에 제시한 적정 온도/적정 전류로 사용했을시의 수명이고요, 우스운 것은 수명의 절반
15,000 시간쯤 지나면 밝기가 50%이상 저하된다는 것입니다. 장시간 사용하는 조명
등의 경우에는 신경써야 하겠죠. 하지만 차량의 경우에는 보통 하루3시간씩 운행한다
고해도 15년후의 일이니 신경 안쓰셔도 되겠습니다.
아뭏튼 차량에 있어서 기존 전구를 LED로 바꾸는 것은 친환경적이며 또한 안전상으
로도 많은 향상(불법 HID같이 다른사람에게 피해를 주지도 않음)점이 있으니 매우 바
람직한 일이며,오히려 국가적으로도 적극 권장해야할 사항인데,이런것 까지 범법 행
위가 되고 단속대상이 되어 행정기관의 잇속을 채워줘야 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
...................
그동안 지루한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구요, 즐튜 성튜 하시기 바랍니다.....꾸벅^
합니다 **
TSM의 기능은 잘 아시겠지만 2가지의 서로다른 시그널 전압을 충돌없이 한개의 램프
모듈로 출력하며, 일정시간의 지연기능 역할을 하는 회로입니다.
시판되는 기성품이건 자작해서 사용하시는 것이든 회로구성은 같아 보입니다.
[ TSM의 기존 회로구성도 ]
[ TSM의 개선 제안도 ]
개선 제안도에 보시면 콘덴서(캐패시터)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와 직렬로
NTC10D-7 라는 써어미스터를 추가 하였습니다.
콘덴서의 용량이 2200uF이면 적지않은 용량이고 콘덴서라는 것이 순간(수us)적으로
많은 전류량이 흐르는 특성이 있어서 충/방전의 반복 작동시 자동차의 전기회로에 무
리가 갈(여러개의 사용시 더욱) 가능성이 있습니다.
써어미스터를 추가하면 충전시 과도하게 흐르는 전류를 내부저항의 증가로서 완화시
켜 줌으로서 차량의 전기회로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됩니다.
[ 자작해서 사용한 TSM모듈 외관 ]
[ 수축튜브 제거후 모습 ]
*참고로 제가 사용한 계전기(RELAY)는 접점용량이 작은 1A_2극 짜리이고 콘덴서
는 1,000uF_25V(릴레이의 접점용량이 적은 것일수록 크기가 작고 감도가 좋아 콘덴
서의 적용 용량은 줄어들게 됩니다.콘덴서의 내압은 차량의 전압이 15V까지도 상승
하므로 16V의 콘덴서가 다소 불안해보여 25V로 선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진에 사용
한 써어미스터는 있는 부품을 사용하다보니 NTC10D-15(*직경15mm짜리)를 사용하
였습니다.
*참고적으로 한말씀 덧붙이면요, 기존 필라멘트식 전구를 LED전구로 바꾸면, 반응속
도가 월등히 빨라집니다. 기존 전구를 자세히 관찰해보시면 ON시 필라멘트가 가열되
빛이 발생되기까지의 지연시간이 있고 또한 반대로 꺼졌을 때에도 달구어진 필라멘트
가 식는동안 발생하는 잔여 빛의 지연이 있는데 비해 LED는 그러한 것이 없습니다.
필라멘트식 전구와 LED모듈을 동시에 작동해 보시면 ON/OFF시의 차이를 확연하게
느끼실수 있으실 겁니다.
그리고 LED의 수명이 있는데요. 30,000시간~50,000 시간인데 이는 각기 LED의 사양
에 제시한 적정 온도/적정 전류로 사용했을시의 수명이고요, 우스운 것은 수명의 절반
15,000 시간쯤 지나면 밝기가 50%이상 저하된다는 것입니다. 장시간 사용하는 조명
등의 경우에는 신경써야 하겠죠. 하지만 차량의 경우에는 보통 하루3시간씩 운행한다
고해도 15년후의 일이니 신경 안쓰셔도 되겠습니다.
아뭏튼 차량에 있어서 기존 전구를 LED로 바꾸는 것은 친환경적이며 또한 안전상으
로도 많은 향상(불법 HID같이 다른사람에게 피해를 주지도 않음)점이 있으니 매우 바
람직한 일이며,오히려 국가적으로도 적극 권장해야할 사항인데,이런것 까지 범법 행
위가 되고 단속대상이 되어 행정기관의 잇속을 채워줘야 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
...................
그동안 지루한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구요, 즐튜 성튜 하시기 바랍니다.....꾸벅^